티스토리 뷰

반응형

어린이집 보육료 부담 되시죠? 보육료 결제 지원을 받는 방법 있는데요~ 0~5세 영아를 양육 중이며 국적, 주민등록번호만 있으면 됩니다. 연령, 출석일수에 따라 지원금액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대상, 신청 방법, 결제방법, 국민행복카드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월 부담되는 고정비용을 보육료 지원받는 방법과 결제하는 방법 등에 대해 포스팅할 테니 집중해 주세요.

 

보육료 지원, 결제 방법 총정리
보육료 지원, 결제 방법 총정리

 

 

만 0-5세 보육료 지원 사업 이란?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에 대한 보육료 지원을 통해 부모의 자녀양육 부담경감 및 원활한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만 0-5세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가정은 모두 해당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 지원대상 및 선정기준

  • 지자체에 보육료 지원을 신청한 날부터 지원함
  • 양육수당 → 보육료로 변경 신청한 경우 15일 이전 신청 시 해당 월 보육료를 지원받으나 16일 이후에는 익월 1일부터 지원
  • 보육료는 신청일부터 지원 가능하며 어린이집 이용 전 사전 신청 필요

선정기준은 위와 같습니다. 보육기관마다 변경 기준이 상이하므로 지자체나 보건복지콜센터에 문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또한 보육료 신청보다 어린이집에 먼저 입소한 경우 보육료 신청일 기준으로 지원됩니다.

연령 기준
만 0세 2022.01.01. 이후 출생 아동
만 1세 2021.01.01. ~ 2021.12.31. 까지의 출생 아동
만 2세 2020.01.01. ~ 2020.12.31. 까지의 출생 아동
만 3세 2019.01.01. ~ 2019.12.31. 까지의 출생 아동
만 4세 2018.01.01. ~ 2018.12.31. 까지의 출생 아동
만 5세 2017.01.01. ~ 2017.12.31. 까지의 출생 아동
* 취학유예아동인 경우 2016.01.01. ~ 2016.12.31.
취학아동
(방과 후 보육료)
2016.01.01. ~ 2010.12.31. 까지의 출생 아동
비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에서 보육료 지원을 받는 유아에 대한 무상 보육 기간은 3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2013.03.01일 이후 지원 이력 부터 적용 (취학유예, 연기자 및 조기입학자 지원기간 포함)

 

▷ 지원금액

아이의 연령대별로 지원되는 금액이 다르며 기본, 야간, 24시(종일) 인경우에도 금액이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또한 아이의 출석일수가 필요한데 11개월에 1일 등원을 해야 100%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연령 금액
만 0세반 (기본) 514,000원
(야간) 514,000원
(24시) 771,000원
만 1세반 (기본) 452,000원
(야간) 452,000원
(24시) 678,000원
만 2세반 (기본) 375,000원
(야간) 375,000원
(24시) 562,500원
만 3 ~ 5세반 (기본) 280,000원
(야간) 280,000원
(24시) 420,000원
출석일수 100% 지원 = 11일 이상
50% 지원 = 6~10일
25% 지원 = 1~5일

 

반응형

 

▷ 신청방법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신청 가능하며 온라인은 복지로 사이트, 오프라인은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전화, 홈페이지를 통해 문의하면 됩니다.

 

 

보육료 지원 신청 (복지로)
보육료 지원 신청 (복지로)

 

보육료 지원 신청 (복지로)
보육료 지원 신청 (복지로)

 

 

 

보육료 결제 방법과 국민행복카드

어린이집 보육료 결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ARS, 인터넷, 스마트폰 어플(앱), 방문 결제 등이 있으며 편안한 방법으로 결제하시면 됩니다. 앞서 말씀드린 보육료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국민행복카드를 먼저 만들고 → 결제 진행이 되어야 합니다.

 

▷ 국민행복카드 만드는 방법

어린이집, 유치원,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및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카드사 및 금융기관에서 발급 가능 합니다. 중요한 점은 어린이집에서 유치원으로 기관 변경 시에는 복지로 or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보육료, 유아학비 자격변경 신청 해야 합니다.

구분 설명
온라인 발급 - 국민행복카드 홈페이지
- 아이사랑 홈페이지
- 카드사 홈페이지 (KB국민, 신한, 롯데, 삼성, 비씨)
오프라인 발급 -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 전국 은행과 주요 카드사 지점 

 

▷ 보육료 결제 방법

  • 인터넷 : 아이사랑 홈페이지 접속 → 보육료 결제 메뉴에서 자녀의 보육료 결제 가능 (공인인증서 등록 필요)
  • 스마트폰 앱(어플) : 아이사랑 앱(어플) 다운 → 보육료 결제 가능 (공인인증서 등록 필요)
  • ARS : 1566-0244로 전화 → 국민행복카드 번호, 카드 소유자의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입력 → 대상 아동 확인 후 결제 가능
  • 방문 : 어린이집에 비치된 카드 단말기로 결제 가능

보육료 지원 신청 및 국민행복카드를 만들었다면 4가지 방법으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각자 편리한 방법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Finish

오늘은 보육료 결제와 지원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요즘은 시스템과 기술이 잘 발달이 잘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집에서 편리하게 신청 가능합니다. 육아하는 데 있어 부담이 덜어지길 바랍니다.

 

 

반응형